본문 바로가기

술 백병

(2)
세상의 끝, 희락(喜樂)의 끝 “술” 세상의 끝, 희락(喜樂)의 끝 “술” 세상이 점점 각박해 지는 것 같다. “한잔 해야지” 이 절절하고 애틋한 말이 문명의 혜택인 핸드폰의 보급으로 나타난 빈말인 “있다가 전화할게”처럼 “담에 소주나 한잔 하지”로 바뀌었다. 즐겨 찾는 소주 값도 많이 올라 이제는 사천원을 바라보는 작금의 녹녹치 않은 현실에서 집 옆 동네슈퍼에서 일병 천원을 고수하고 있음에 나는 진실로 감사한다. 어느 자리에서나 어디서나 술은 인생의 즐거움을 같이한다. 한없이 쑥스럽고 오금저리는 사랑고백의 자리에서는 용기를 북돋아주고 세상에서 제일 어려운 어른이라는 힘겹기만 할 것 같은 호랑이 장인을 처음 뵙는 자리에서도 사내로의 당당함을 내세울 수 있는 호탕함을 마련해 준다. 가운데 다리를 마주보며 온갖 잡스런 장난질을 같이 했던 옛 친..
논어 향당편에 있는 공자의 유주무량(唯酒無量) 공자의 주량에 대하여 해석을 잘해야 하는 구절이다. 물론 이런 구절을 해석할 때는 마음을 비우고 자신의 상황에 맞추어 니 맘대로 지껄이는 것이 옳다고 한갑부는 생각한다. ^^ 논어 향당편에 이르기를... ‘유주무량 불급난(唯酒無量 不及亂)’ 술에 양을 두지 않았으나 흐트러짐에 미치지 않았다. 술 마시는 양에 한계를 정하여 두지는 않았으나 몸가짐이 흐트러지지 않았다. ‘유주무량 불급 난 (唯酒無量 不及 亂)’ 술에 양을 두지 않았고 이에 미치지 않으면 어지러웠다. 술 마시는 양이 한이 없어 술이 떨어지면 난동을 부렸다. 이 유주무량(唯酒無量)의 구절로 공자의 주량을 “공자백호(孔子百壺)”라 칭하며 공자가 술을 마시면 백병을 기울여 비웠다는 말로 변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