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갑부가읽은책

[3분 고전] 청복을 느끼게 하는 고문의 글 깨침

EBS에서 병략의 고전 손자병법의 강의로 한갑부의 심적 날램과 하이바의 충만함을 채워주었던 박재희 교수의 책이다.
한갑부는 아직도 그의 강의를 인터넷에서 찾아보고 있는데 지면을 빌어 바램을 전하면 다시 한번 좀 더 리얼하게 세상사를 관통하는 내용으로 업그레이드하여 좀 들어봤으면 한다.
3분 고전은 KBS에서 3분 방송 [라디오 시사고전]의 내용 중 120개를 선별하여 정리하여 발간한 책이란다. 한면 두쪽에 고전 한구절을 음미하는 방식으로 엮어놓았다. 저자는 서문에서 청복(淸福)을 느끼며 썼으니 독자도 하루에 한 구절씩 읽으며 청복(淸福)의 기회가 되라 했다.
그리하여 한갑부는 하루에 꼭 한번 살아있음과 최상의 청복을 느낄 수 있는 시간대인 식전에 소중한 자신만의 공간 화장실에서 똥 싸며 읽는 방법을 택할 것을 권해본다. 참고로 성질 급한 한갑부는 잡으면 끝 페이지까지 달리기에 마루에 걸터앉아 완독했다. 그 결과 옛사람의 글 한 구절에 생각의 시간을 지체하지 못하는 오류를 범하였음을 밝힌다. 부디 이 책을 읽고 잡픈 그대는 한갑부의 오류를 거울삼아 똥 싸며 읽어 옛사람의 명문에 생각을 더할 것을 권하여 본다.
이 책은 저자와 달리 고전을 통하여 다산(茶山)의 두 가지 행복에 대한 정의 중 세속(世俗)의 돈벌이를 통하여 해어화(解語花)의 꽃밭을 노닐고픈 열복(熱福)을 희망하나 운()이 맞지 않음과 능력부족에 기인하여 이루지 못하매 청복(淸福)으로 돌아선 한잡부와 같은 수많은 속물(俗物)들에게 따땃한 위안을 주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물처럼 사는 인생의 아름다움과 슬기로움을 일깨우는 상선약수(上善若水)에서 가치부전(假痴不癲)의 처세(處世)까지 저자는 청복(淸福)을 이야기하나 한잡부와 같이 열복(熱福)을 행복으로 생각하는 많은 이에게 지혜를 주는 글이 구성되어있다 
 
3분 고전 3분 고전
박재희 | 작은씨앗 | 20101107
평점
상세내용보기
| 리뷰 더 보기 | 관련 테마보기

 
책속의 고전 중 맹자의 군자유삼락(君子有三樂)에 빗대어 한갑부는 갑부유삼락(甲富有三樂)을 제시하며 3분 고전에 대한 감흥을 반론한다.
갑부의 세 가지 즐거움을 추구한다.
첫째는 돈 세는 즐거움이다.
재벌그룹의 총수가 말했던 즐거움으로 회사가 한창 커나가는 과정에서는 그날 벌어들인 돈을 푸대에 담아 집으로 가지고 들어가 마누라와 둘이서 아침이 밝아오도록 돈을 세는 기쁨이 있었으나 회사가 대그룹이 되니 장부상 숫자로만 돈이 벌리니 돈 버는 맛이 안 난다는 말처럼 그 이상은 바라지 않는 한계점에서의 즐거움이다. 갑부는 딱 거기까지다. 아침에 떠오르는 햇살이 비치고 야경 좋은 P가 따블로 뛰는 옥탑층에서(요새 아파트는 꼭대기 층이 제일 비싸다.) 그날 벌어들인 돈을 식전까지 세고픈 저렴하고도 스스로의 분수를 아는 즐거움이다. 그러려면 졸라 열씸으로 일해야 한다.
둘째는 돈 쓰는 즐거움이다.
하늘이 알고 땅이 알 듯이 개고생하며 벌었으니 팍팍 좀 써야한다. 해어화의 꽃밭에서 양주를 빨아가며 부의 재분배를 온몸으로 실천도 하고 좋다고 소문난건 다 해보고 다 가보고 다 먹어봐야 하지 않겠는가? 이게 두 번째 즐거움이다. 개나 소나 다치는 골프보다 승마를 통한 차별화를 실천하는 것이 돈 쓰는 즐거움이리라.
셋째는 자식새끼 커가는 즐거움이다.
천하의 영재를 모아 가르치면 뭐하나 피 섞인 내 새끼만 하겠는가? 개천에서 용 난다고 구라치지마라 그런 세상 아니다. 남의 새끼 학원 다니며 영어 가르칠 때 내 새끼는 미국 보내면 되는 거 아닌가? 자식의 인격과 품성에 대하여 말하지 말라. 부자집 애들이 못 됐다는 편견은 참으로 웃긴 이야기이다. 한갑부가 본 세상에서 자식새끼 품성은 재산유무랑은 별개였다. 고매한 품성과 드높은 인격은 아니더라도 남들 보다 나은 인품을 갖춘 내 자식을 키우는 즐거움이 갑부의 세 번째 즐거움이다.
돈 세고(벌고), 돈 쓰고, 내 자식 하나 제대로 키우는 즐거움 이게 한갑부가 추구하는 갑부삼락(甲富三樂) 이다. 이러니 한갑부는 군자(君子)는 당연 힘들고 소인(小人)은 아니며 잡부(雜夫)가 맞다.
두 페이지의 짧은 글로서 단상(斷想)케 하는 고전을 통하여 세상 사람에게 청복(淸福)을 보이려 하였으나 우리의 시대는 군자보다 소인이 많다 생각되기에 굴원의 어부사처럼 이해 안 가는 일에는 이해하지 않으면 된다는 단순함을 일깨워주며 묻 소인들을 태산불사토양(泰山不辭土壤) 하해불택세류(河海不擇細流) : 태산은 한 줌의 흙을 사양치 않고 바다는 물줄기를 가리지 않는다.”라는 중국 최초 통일 제국을 이룬 진() 승상 이사의 말처럼 넉넉함으로 감싸안음을 가르쳐주려 한 것이 청복(淸福)이냐 우문(愚問)하며 저자의 다음 글을 기대해 본다.


이글은 "인터파크도서"에서 작성되었습니다.